108번뇌와 108배 삼독심(三毒心)을 끊고삼학(三學, 戒, 定, 慧)을 닦겠다는 의지를표명하는 것이고, 53배는 참회 53불(佛)에 대한 경배 ,1천배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겁(賢劫)의 1천 부처님께 1배씩 절을 올리는 것이며, 3천배는 과거,현재, 미래의 3대겁에 출현하는 3천 부처님께 1배씩의 절을 올리는 예법이다. 어떻게 해서 중생의 번뇌를 108이라는 숫자로 분류하였는지를 분명히 아는 사람은 드물다. 향기[香], 맛[味], 감촉[觸], 법[法]의 6진을 상대할 때 먼저 좋다[好], 나쁘다[惡], 좋지도 싫지도 않다[平等]는 세 가지 인식 작용을 일으킨다. 괴롭게 받아들이며[苦受], 좋지도 싫지도 않은 것에 대하여는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게 방치하는[捨受] 것이다. 괴롭고[苦], 즐겁고[樂], 버리는[捨] 여섯 가지 감각이 나타나기 때문에, 6*6=36, 즉 서른여섯가지의 번뇌가 생겨나게 된다. 미래에도 할 것이기 때문에, 6*6=36에 과거, 현재, 미래의 3을 곱하여 108번뇌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 번뇌들이 눈 깜짝할 사이에 무수히 왔다갔다하면서 마음을 흐트려 놓기 때문에 중생은 번뇌로 인해 시달리는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나로 모아진 마음이 아니라 바깥으로 흩어진 마음, 근원을 돌아보는 마음의 상태가 아니라 끊임없이 흘러 내려가는 유전(流轉)을 뜻하는 것이다. 삼매의 힘으로 변화된다. 시간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무능에 빠지고 끝없는 생사의 유전 속으로 전락하고 만다. 원래의 무한 능력이 우리에게서 한 번도 떠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돌리겠다는 의지가 숨겨져 있다. 하나가 되는 삶, 곧 성불(成佛)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담겨져 있는 것이다. 인도하는 방편이다. 모든 번뇌는 차츰 사라지게 된다.
|
'불심(불자)의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만해 한용운 님의 침묵외 몇편... (0) | 2010.04.23 |
---|---|
[스크랩] 시산제 식순(불교식) (0) | 2010.03.16 |
[스크랩] 불자가 되면 반드시 해야 할 일 (0) | 2010.02.18 |
[스크랩] 효는 최고의 선 불효는 최고의 악 (0) | 2010.02.18 |
[스크랩] 지나치기 쉬운 불교 상식 (0) | 201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