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소기준권리 >>
언제>
부동산경매에서 부동산이 낙찰될 경우,
어떻게>
그 부동산에 존재하던 권리가 소멸하는가,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남아 낙찰자에게 인수되는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는 권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부동산에 세입자가 들어온 경우,
그 부동산이 경매에 부쳐진다면 세입자의 전입일이 근저당권 설정일보다 나중이 되기 때문에
부동산의 낙찰자는 세입자를 내 보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세입자의 권리는 소멸되는 것이고, 그것을 판단하는 말소기준권리는 근저당권이 됩니다
그림으로 설명해 드립니다>>
출처 : 토지사랑모임카페
글쓴이 : 화랑1 원글보기
메모 :
'부동산공매와경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동산 경매에서 소멸주의와 인수주의란? (0) | 2016.02.25 |
---|---|
[스크랩] 대항력/최우선변제/우선변제/확정일자 (0) | 2016.02.25 |
[스크랩] 부동산 백과사전 (0) | 2016.02.03 |
[스크랩] 임야 투자시 주의 사항 7가지 (0) | 2015.12.14 |
[스크랩] 강제경매와 임의경매 차이 (0) | 2015.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