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심가뿌리를찾아서

청송 심씨에 대하여

心泉 심상학 2008. 12. 31. 10:43
청송 심씨 
본관 연혁
   청송(靑松)은 경상북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청송군의 파천면 일부는
   고구려 말에 청기현(靑杞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적선현(積善縣)
   으로 개칭되어 야성군(野城郡: 盈德)의 영현이 되었다. 
   적선현은 고려 초에 부이(鳧伊) 또는 운봉(雲鳳)으로 불리다가 986년(성종 5)
   청부현(靑鳧縣)으로 개칭되어 예주군(禮州郡: 盈德郡)에 속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예주(禮州: 寧海)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감무를 파견하였다. 1394년(태조 3) 진보현(眞寶縣)을 
   합병하였다. 
1419년(세종 1) 청보군(靑寶郡)으로 승격하였다. 
   후에 진보와 분리되었고 세조 때 송생현(松生縣)을 병합하여 청송군으로 
   개칭되었으며, 
   안덕현(安德縣)을 병합하여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안동부 청송군·진보군이 되었고, 
1896년 에 경상북도 청송군·진보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진보군 일부를 합하여 8개면으로 개편하였다. 
1979년 5월 청송면이 읍으로 승격하였고, 
1983년 영양군 입암면 방전리·홍구리 등 일부를 편입하였다. 
   현재 청송군은 청송읍과 부동·부남·현동·현서·안덕·파천·진보면 등 
   1읍 7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씨의 역사
   청송심씨(靑松沈氏)의 시조는 고려 충렬왕 때 문림랑(文林郞)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역임한 심홍부(沈洪孚)이다. 
   그의 생몰연대나 사적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없어 알 수가 없다. 
   그의 4세손인 심덕부(沈德符)는 고려 충숙왕 때 왜구의 침입을 물리쳤고, 
   공민왕 때에는 중흥 9공신으로 
   "충근양절익찬좌명공신벽상삼한삼중대광문하시중
   (忠勤亮節翊贊佐命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門下侍中)이 되기도 하였다. 
   우왕 때에는 안사공신(安社功臣)으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올랐으며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진 후 청성충의백(靑城忠義伯)에 진봉되어 
   후손들이 청송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면서 조선에서는 세도가문으로 
   명성을 떨쳤다. 
[주요 왕실] 
 - 조선   4대  세종대왕의 부인 소헌왕후
 - 조선  13대  명종대왕의 부인 인순왕후
 - 조선  20대  경종대왕의 부인 단의왕후 
-------------------------- 
심덕부(沈德符)에 대하여
심덕부(沈德符)
1328년(충숙왕 15)∼1401(태종 1). 고려말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득지(得之), 호는 노당(蘆堂)·허당(虛堂). 
   아버지는 전리정랑(典理正郎) 용(龍)이다.
   고려 충숙왕 복위년 말에 음직(蔭職)으로 사온직장동정(司溫直長同正)에 출사한
   이후 좌우위녹사(左右衛錄事)를 거쳐
1364년(공민왕 13) 수원부(水原府)의 수령이 되었다. 
   공민왕 말년에 판위위시사(判衛尉寺事), 우왕 즉위 후 우상시(右常寺)를 거쳐 
   우왕 원년에 예의판서(禮儀判書)에 승직되었고, 
   이어 밀직부사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와 강계도만호(江界都萬戶)
   의주부원수(義州副元帥)·서해도원수(西海道元帥) 등의 요직을 거쳤다.
1378년(우왕 4) 밀직사로 재임하면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로서 서해도원수를 겸하여 여러 차례 왜구 토벌에 
   공을 세웠는데, 특히
1380년 도원수 나세(羅世)와
   함께 최무선(崔茂宣)이 제조한 화포를 처음 실전에 사용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1385년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서 동북면상원수(東北面上元帥)를 겸하여 
   북청(北靑)에 침략한 왜구를 토벌하는 등 
   이성계(李成桂)와 함께 동북면에 침구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다. 
   같은해 겨울에는 하정사(賀正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고, 귀국 후에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다.
1388년 의 요동출병 때에는 서경도원수(西京都元帥)로서 조민수(曺敏修)와 함께
   좌군에 속하여 이성계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도와주었다.
   또한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우는 폐가입진(廢假立眞)에는 이성계·
   정도전(鄭道傳)·정몽주(鄭夢周)와 더불어 주도적인 구실을 하여 이른바 
   9공신 중의 한 사람이 되었고, 공양왕 즉위 직후에 문하좌시중 경기좌우도 
   평양도통사(門下左侍中京畿左右道平壤都統使)에 올랐으며, 
   이듬해에 청성군충의백(靑城君忠義伯)에 봉해졌다.
   그러나 같은해 말에 비어(飛語)에 따른 무고로 인하여 일시 황해도 토산(兎山)
   에 유배되었다. 그뒤
1391년(공양왕 3) 다시 문하좌시중에 복직되고, 하정사인 왕세자 
   석(奭)의 종사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이성계·정몽주와 함께 
   안사공신(安社功臣)이 되었다.
1392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 조선의 개국을 맞아, 1393년(태조 2) 
   회군공신(回軍功臣) 1등에 추록되며, 청성백(靑城伯)에 봉하여졌다.
1397년 판문하부사, 이듬해에 영삼사사(領三司事)를 거쳐, 
   72세 때인 1399년(정종 1)에 좌의정이 되었다가 이듬해에 치사하였다. 
   고려말 정치제도의 개혁과 왜구토벌에 업적을 남겼으니, 
   공양왕 때에 관찰사제를 폐지하고 안렴사제(按廉使制)를 부활하였으며, 
   제사(諸司)의 서무를 도당(都堂)에 직접 보고하게 한 것 등이 그것이다.
   조선왕조 개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하였는데, 
1394년에는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의 판사가 되어 한양의 궁실과
   종묘를 영건(營建)하는 일을 총괄하여 신도건설에 큰 구실을 하였다. 
   그에게는 일곱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다섯째 아들인 온(溫)은 
   세종의 국구(國舅)가 되었으며, 
   여섯째 아들인 종(淙)은 태조의 부마가 되어, 왕실과의 혼인을 통하여 
   거족(巨族)으로 성장하는 기틀이 그에게서 이루어졌다. 
   처음 시호는 공정(恭靖)이며 나중에 정안(定安)으로 고쳤다
----------------------
심온(沈溫)에 대하여 
심온(沈溫)
?∼1418(세종 즉위년).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중옥(仲玉). 세종의 장인이며, 개국공신 청성백(靑城伯) 덕부(德符)의 
   아들이다.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하여 고려조정에서 벼슬을 하다가 아버지와 함께 
   조선왕조 창업에 참여하여 간관의 직무를 맡아보았다.
1408년(태종 8) 그의 딸이 충녕군(忠寧君)의 비가 되면서 왕실과 인척관계를 
   맺고, 벼슬도 높아졌다.
1411년 풍해도관찰사가 되어 백성을 침탈하고 병기관리에 소홀한 수군첨절제사 
   박영우(朴英祐)를 파직시키고, 이어서 대사헌이 되어서는 관기확립에 힘썼다.
1414년 변정도감제조(辨正都監提調)·형조판서를 역임하면서 고려 후기에 
   권세가들에 의하여 천민으로 바뀐 양민들의 신분정리사업에 이바지하였고, 
   이어서 호조판서·좌군총제·판한성부사를 역임하였는데, 
   세자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행동에 연루되어 대간에 의해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그뒤 이조판서·공조판서를 역임하고, 양녕대군을 대신하여 충녕대군이 
   세자로  책봉되고, 이어서 세종으로 즉위하자 국구(國舅)로서 영의정이 되어 
   정치의 실권을 가까이하기에 이르렀다.
1418년(세종 즉위년)에는 사은사(謝恩使)로서 명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이때에 그의 동생 정($증01)이 병조판서 박습(朴習)과 같이 상왕인 태종의 
   병권장악을 비난한 것이 화근이 되어, 
   이듬해 귀국 도중에 의주에서 체포되어 수원으로 압송, 사사되었다.
   이 사건은 그가 국구로서 세력이 커짐을 염려한 태종과 좌의정 박은(朴?)의 
   무고로 밝혀져, 
   뒤에 세종은 관직을 복위시키고, 안효(安孝)라는 시호를 내렸다. 
   죽음에 임하여 유언으로 박씨와 혼인하지 말도록 당부하니, 오랫동안 지켜졌다.   
-------------------------------
소헌왕후(昭憲王后)에 대하여
소헌왕후 (昭憲王后)
1395(태조 4)∼1446(세종 28). 조선 제4대왕 세종의 비. 성은 심씨(沈氏). 
   본관은 청송(靑松). 
   문하시중 덕부(德符)의 손녀이고, 영의정 온(溫)의 딸이며, 어머니는 
   영돈녕부사 안천보(安天保)의 딸이다.
1408년(태종 8) 충녕군(忠寧君) 도 (?)와 가례(嘉禮)를 올려 빈(嬪)이 되고, 
   경숙옹주(敬淑翁主)에 봉해졌다.
1417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개봉(改封)되고, 이듬해 4월 충녕대군이
   왕세자에 책봉되자 경빈(敬嬪)에 봉해졌으며, 
   같은해 9월에 내선 (內禪)을 받아 즉위하니 12월에 왕후로 봉하여 
   공비(恭妃)라 일컬었다. 그러나
1432년(세종 14)에 중궁(中宮)에게 미칭(美稱)을 올리는 것은 옛날에도 
   없었던 일이라 하여 1432년에 왕비로 개봉되었다.
   심온은 세종이 즉위한 뒤 영의정에 올라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서 
   귀환하던 중 아우 청(?)이 군국대사를 상왕 (上王:태종)이 처리한다고 
   불평한 일로 대역(大逆)의 옥사(獄事)가 일어나 그 수괴로 지목되어 
   수원으로 폄출되어 사사되었다. 
   이 일로 폐비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되었다.
1446년 52세로 죽자 헌릉(獻陵)에 장사지냈다. 
   뒤에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으로 이장하였다. 
  《영릉지 英陵誌》를 예조판서 정인지(鄭麟趾)가 제술하였다. 
   휘호는 선인제성(宣仁齊聖), 시호는 소헌(昭憲)이다. 
-------------------------------
인순왕후(仁順王后)에 대하여
인순왕후(仁順王后)
1532(중종 27)∼1575(선조 8). 조선 명종의 비.
   청송심씨(靑松沈氏)로 영의정 연원(連源)의 손녀이고,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강(鋼)의 딸이다.
1545년(명종 즉위년)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1551년에 순회세자(順懷世子)를 
   낳았으나 14세로 일찍 죽었다.
   선조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하였고, 
1569년(선조 2)에 존호(尊號) 의성(懿聖)이 진상되었으며, 
1575년에 창경궁에서 44세를 일기로 죽었다. 휘호는 선열(宣烈), 
   능은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강릉(康陵:楊州 소재)이다. 
-------------------------------
단의왕후(端懿王后)에 대하여
단의왕후(端懿王后)
1686(숙종 12)∼1718(숙종 44). 조선 제20대왕인 경종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청은부원군(靑恩府院君) 심호(沈浩)의 딸이다.
1696년 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경종이 즉위하기 2년 전에 병으로 죽었다. 
   타고난 품성이 뛰어나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덕을 갖추어, 
   어리지만 양전(兩殿)과 병약한 세자를 섬기는 데 손색이 없었다.
1720년 경종이 즉위하자 왕후에 추봉되었다. 전호(殿號)는 영휘(永徽)라 
   하였으며, 
1726년 공효정목(恭孝定穆)이라는 휘호가 추상되었다. 
   능은 혜릉(惠陵)으로 양주에 있으며, 시호는 단의(端懿)이다.   
------------------------------
청송심씨족보 [靑松沈氏族譜] 
1649년(인조 27) 영천군수(榮川郡守) 심장세(沈長世)가 편찬한 청송심씨족보. 
   원본의 현존 여부는 미상이며, 당시의 서문은 후대에 간행된 족보에 실려 있다.
   청송심씨족보는 
1545년(명종 1) 심통원(沈通源)이 순천에서 간행한
   을사보(乙巳譜)를 초간본으로 하여 1562년(명종 17)에는 전주부윤 
   심전(沈銓)을 중심으로 임술보(壬戌譜)가 편찬되었고, 
1578년(선조 11)에는 심의겸을 중심으로 무인보(戊寅譜)가 편찬된 바 있다. 
   이 족보는 그 연장 선상에서 간행된 것으로 심장세의 아우 심희세(沈熙世)의 
   역할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장세의 서문에 따르면, 심희세는 보학에 조예가 깊어 일찍이 
   해동씨족지(海東氏族誌)의 편찬을 계획하였으나 착수하지는 못했고, 
   청송심씨족보를 수정하여 간행에 대비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를 완수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심장세가 그의 수정 초보를 바탕으로 
   영주에서 간행한 것이 바로 이 족보인데, 
   흔히 기축보(己丑輔)라 불린다.
   원본이 없어 체제를 알 수는 없지만 선대의 사실(史實), 비문(碑文) 등을 
   권수에 첨부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체제와 내용이 비교적 완비된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로 요사이에 간행된 청송심씨족보에 따르면, 위의 임술보, 무인보 
   그리고 이 기축보는 미간본으로 표기되어 있어 간행 여부에 대해 세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처럼 기축보의 간행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있기는 하지만 기록상 
   청송심씨족보의 4간본에 해당하며, 
1712년(숙종 38) 심단(沈檀)·심득량(沈得良) 등이 중심이 되어 간행한 
   임진보(壬辰譜 : 5卷) 편찬의 중요한 저본이 되었다는 의의가 크다.
   참고로 청송심씨족보는 임진보 이후에도 
1843년(헌종 9), 
1873년(고종 10), 
1918년(戊午)에 
     이르기까지 족보가 연차적으로 간행되었다.
대동보 항렬(大同譜 行列)
근세의 청송심씨 항렬(行列)  
 19세 지○(之)
 20세 ○능(能)
 21세 의○(宜)
 22세 ○택(澤)
 23세 상○(相)
 24세 ○섭(燮) 
 25세 재○(載) 
 26세 ○보(輔)
 27세 규○(揆)
 28세 ○용(用)
 29세 녕○(寧)
 30세 ○기(起)
 31세 장○(章)
 32세 ○후(厚)
 33세 량○(亮)
 34세 ○남(南)
 35세 무○(茂)
 36世 ○용(鎔) 
 37世 한○(漢)
 38世 ○근(根)
 39世 형○(炯)
 40世 ○균(均)
 41世 진○(鎭)
 42世 ○순(淳)
 43世 동○(東)
 44世 ○병(炳)
 45世 곤○(坤)
분적종 및 분파
 -나는-섭(燮)입니다.
안효공파(安孝公派)24세. 

  용담공파(龍潭公派: 源)        감찰공파(監察公派: 源)      첨정공파(僉正公派: 由訥)
  감찰공파(監察公派: 由剛)      학유공파(學諭公派)          학생공파(學生公派: 沂)
  학생공파(學生公派: 沆)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      별좌공파(別坐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鉉)        영월공파(寧越公派)          과천공파(果川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銀)        정읍공파(井邑公派)          군자감정공파(軍資監正公派)
  승지공파(承旨公派)            학생공파(學生公派)          사평공파(司評公派)
  양지공파(陽智公派)            수사공파(水使公派)          영월공파(寧越公派)
  충장공파(忠壯公派)            임천공파(林川公派)          안동공파(安東公派)
  은산공파(殷山公派)            여주공파(驪州公派)          장수공파(長水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友俊),     감사공파(監司公派)          감찰공파(監察公派: 友端)
  학생공파(學生公派: 友英)      정언공파(正言公派)          풍덕공파(豊德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김천공파(金泉公派)          학생공파(學生公派)
  청양공파(靑陽公派)            문의공파(文義公派)          훈도공파(訓導公派)
  첨정공파(僉正公派: 友信)      사어공파(司禦公派)          도사공파(都事公派: 友仁)
  도사공파(都事公派: 宗明)      학생공파(學生公派: 應辰)    온양공파(溫陽公派) 
  성천공파(成川公派),           정랑공파(正郞公派: 智謙)    부평공파(富平公派)
  충익공파(忠翼公派)            신천공파(信川公派)          판관공파(判官公派)
  문정공파(文貞公派)            첨정공파(僉正公派: 昌壽)    학생공파(學生公派: 調謙)
  진사공파(進士公派: 克明)      학생공파(學生公派: 秀崙)    생원공파(生員公派: 源漢)
  부사공파(府使公派)            장령공파(掌令公派)          학생공파(學生公派: 源准)
  동중추공파(同中樞公派)        학생공파(學生公派)          영동정공파(令同正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목사공파(牧使公派)          정랑공파(正郞公派: 之浦)
  학생공파(學生公派: 之仲)      부령공파(副令公派)          학생공파(學生公派: 之季)
  청성위공파(靑城尉公派)        영천공파(榮川公派)          부장공파(部將公派)
  직장공파(直長公派)            학생공파(學生公派: 長壽)    학생공파(學生公派: 長已)
  청원군파(靑原君派)            동지총제공파(同知摠制公派) 

주요 세 거주지
강원도 김화군 근동면
강원도 인제군 남면 관대리
경기도 파주시 월농면 군내리
경기도 화성시 반월면 둔대리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 덕정리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감연동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동
전라남도 곡성군 겸면 칠봉리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마령리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부곡리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추산리
함경남도 풍산군 웅이면
함경남도 단천군 복귀면 용강리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청송심씨는 65,744가구 
총 212,717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