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사찰의 건축물 ( 전각 ) 3 사찰의 건축물 (전각) 14) 독성각(獨成閣) 독성각 독성각에는 나반존자라는 분이 모셔져 있으나 정확히 어떤 분인지는 밝혀져 있지 않아서 16나한의 한 분인 빈도라 발라사가 아닌가 여겨진다. 빈도라발라사는 코삼비국 재상의 아들로서 석가모니 부처님께 귀의하여 구족계를 받았다고 한다. (15) 산신..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사찰의 건축물 ( 전각 ) 2 사찰의 건축물 (전각) (8) 원통전(圓通寶殿) 파계사 원통전 원통전은 중생구제를 위한 대자대비의 원력으로 대중들에게 가장 친근한 보살인 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이다. 대비전(大悲殿), 보타전(菩陀殿)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주불전일 때는 원통전이라 부르며, 부속 전각일 때는 관음..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사찰의 건축물 ( 전각 ) 1 사찰의 건축물 (전각) (1) 대웅전(大雄殿) 완주 송광사 대웅전 대웅전은 석가모니부처님을 봉안한 전각으로 대웅이란 말의 뜻은 인도의 옛말 마하비라를 한역한 것으로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부처님을 위대한 영웅, 즉 대웅이라 일컬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즉 석가모니부처님은 일반인이 가질 수 없는 ..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절에 올 때의 몸가짐 절에 올 때의 몸가짐 1) 절에 올 때의 몸가짐 ⑴ 절에 올 때는 염주를 가지고 와야 합니다. 염주는 항상 손에 들고, 가고 옴에 불보살님의 명호를 외우고 정진하여야 합니다. ⑵ 법복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법복을 입으면 엄숙하고 경건한 마음이 되기에 마음을 다스리는 데에도 도움이 되므로, 법당에..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108염주란 무엇인가? 108염주란 무엇인가? -생로병사 우비고뇌 등 미혹된 마음 - -백팔염주 108번뇌 소멸시키는 법구 - 염주는 불자들이 소중히 여기고 널리 애용하는 성스러운 신앙 도구이다. 가정에 모셔두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기도 하지만 교통사고가 잦은 요즈음엔 안전을 염려하는 탓인지 너나 없이 차안에까지 정성껏..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스님의 옷이 회색인 까닭은 ? 스님의 옷이 회색인 까닭은 ? 청빈한 삶 흑과 백 초월 원융의 색 성철스님이 40년간 입었던 누더기 두루마기. 무소유의 삶을 살고자 하는 수행자 본연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승복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스님들의 모습은 그 자체만으로도 종교의 신성함, 출가자에 대한 경외감을 불러 일으킨다..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목탁을 두드리는 이유는? 목탁을 두드리는 이유는? 목탁은 나무를 큰 방울 모양으로 깎아 그 중앙을 반쯤 자르고, 소리가 잘 울리도록 다시 그 속을 파서 비게 하여 조그마한 나무채로 두드리는 법기(法器 : 절에서 쓰는 물건) 입니다. 목탁은 본래 수도승에 대하여 교훈을 주는 뜻에서 밤이고 낮이고 눈을 감는 일이 없는 물고..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업(業)이란 업(業)이란 무엇입니까? 제1절 업(業) 업이라 하였을 때에 우리들은 죄를 지은 것을 흔히 떠올리곤 하지만 그것은 업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업(業)이란 행위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우리들이 사용하는 언어 속에서도 농사짓는 행위는 농업이라 하고. 장사하는 행위는 상..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염불하는 방법 가장행복한공부 염불하는 방법 염불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염불의 방법은 간단하다. 이미타불이나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등 내가 선택한 한 분 불보살님의 명호를 입으로 외우면서 마음으로 그 분을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이렇게만 이야기하면 조금 염불을 하다가 다른 유혹에 빠지거나 스스로 번..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가정에서 불상을 모시는 것에 대하여 -우학스님 가정에서 불상을 모시는 것에 대하여 -우학스님 가정에서 불상을 모시는 것에 대하여 신행상담 : 무일 우학스님(영남불교대학 관음사 회주스님) 불심(불자)의 방 2009.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