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초보불자님...보세요 예절 불교예법을 바르게 익힘으로써 우리 모두 참된 불자로서 어긋남이 없는 몸 가짐과 마음을 갖추어야 하겠다. 사원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장이다. 신성한 성전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이기도 하다. 올바른 예절은 우리들 마음과 몸가짐을 경건하게 하여야 한다...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사찰에서의 스님의 소임 -사찰에서의 스님의 소임- 회주(會主) 스님은 법회를 주관하는 법사이며, 하나의 회(會, 一家)를 이끌어 가는 큰 어른입니다. 법주(法主) 스님은 불법을 잘 알아서 어떤 불사(佛事)나 회상(會上)의 높은 어른으로 추대된 스님입니다. 조실(祖室) 스님은 선(禪)으로 일가를 이루어서 한 파의 정신적 지도자..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부처님과 보살 & 수인과 계인 1) 부처님 '불'이란 붓다의 약칭이며 진리를 깨달은 사람이란 뜻이며 여래라고도 한다. 보통 부처라하면 석가모니불을 이르지만 경전에 보이는 부처만 해도 35불, 53불, 1천불, 1만3천불로 표현되어 있어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 ⓛ 석가모니불-석가족의 성자라는 뜻으로 태자로 태어나 6년의 고행끝에 ..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스크랩] 부처님의 손모습 (수인) [스크랩] 부처님의 손모습 (수인) 글쓴이: 김명숙 조회수 : 28 08.06.18 13:28 http://cafe.daum.net/culture0609/Caua/111 부처님의 손모습 (수인) 수인의 종류 수인(手印)이란 손모습을 말한다. 부처님을 조성하는 데는 손모습을 중시해 왔는데 결국은 이도0종호에서 보이는 부처님의 모습인 인연의 내용이다. 이 손모습..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불상을 구분하는 법 불상을 구분하는 법 법신불(法身佛)인 비로자나불은 『화엄경(華嚴經)』에 등장하는 부처님으로서 『대일여래경(大日如來經)』에서는 대일여래(大日如來)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법신불이란 진리 그 자체를 인격화시킨 것이다. 그러기에 법신불이라는 그 자리에는 본래 부처도 중생도 없는 것이다...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불교의 5대 명절 1.부처님 오신 날 음력 4월 8일은 부처님께서 탄생하신 날입니다. 이 날은 전국의 사찰에서 부처님 오신 날을 봉축하며 법요식을 봉행합니다. 법요식 가운데는 욕불의식이 있는데 부처님이 탄생하신 것을 축복하며 향탕수로 목욕시키는 의식입니다. 이 의식은 아기 부처님이 탄생하셨을 때 아홉 마리 ..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스님이 되려면 이런과정이 필요합니다 스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먼저, 출가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출가를 왜 하는가라는 출가의 동기가 분명해야 할 것이며, 출가를 해서 군대보다도 몇배나 힘들다는 스님생활에 적응하고 견디어 낼 수 있는 정신자세를 가지고 가는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실제 출가해서..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한국 불교사 한국 불교사 1. 고구려의 불교수용 2. 백제의 불교수용 3. 신라의 불교수용 4. 신라불교의 전래 5. 통일 신라의 불교 6. 고려의 불교 7. 조선의 불교 8. 근 대 불 교 9. 5,60년대 불교 10. 7, 80 연대 불교 11. 90년대 불교 12. 90년대말 불교와 2000년대의 비전 13. 한국불교사 연표 1. 고구려의 불교수용 한반도에 불교..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사십구재(四十九齋)란? 49재는 죽은 이의 명복을 빌고 좋은 세상으로 나아가도록 하기위해 49일동안 개최하는 천도의식이다. 이 49재는 죽은 날로부터 매 7일째마다 7회에 걸쳐 지내기때문에 달리 칠칠재(七七齋)라고도한다. 이 49재에 대하여 우리는 몇 가지 의문을 가져 볼 수도 있다. 첫째, '왜 하필이면 49일을 기한으로 삼아.. 불심(불자)의 방 2009.02.24
[스크랩] 천도재(薦度齋)란 ●천도재(薦度齋)란● 천도제(薦度祭)또는 천도재(薦度齋)라고 하는데 천도재라는 표현이 맞지만 주로 천도제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 독자의 편의를 위해 여기서는 천도제라고 표기한다. 천도재의 천(薦)은 천거함을 의미하고 도(度)는 죽은 영혼이 내생(來生)의 좋은 곳에 다시 태어나는 길.. 불심(불자)의 방 2009.02.24